이동 삭제 역사 ACL 사이버 가수 (r3 문단 편집) [오류!]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== 현실의 사이버 가수 == 현실에서 사이버 가수 개념을 실현한 것은 1996년 [[일본]]의 연예기획사 [[호리프로]]에서 기획한 [[다테 쿄코]]를 시초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. 한국에서도 다테 쿄코의 뒤를 이어 [[사이버 가수 아담]], [[류시아]], [[사이다]] 등의 사이버 가수가 발표되어 활동하였으며, 이 중 일부는 좋은 반응을 얻기도 하였다. 그러나 1990년대에 태어난 사이버 가수들은 완벽하게 사장되었는데,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다. * 사이버 가수의 운용은 당시 인력이 많이 드는 첨단 기술이었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졌다. * 실제 사람과 충분히 닮은 외모를 구현하지 않았고 충분히 데포르메된 외모를 구현하지도 않았기에 [[불쾌한 골짜기]] 현상이 나타났다. * 예능 출연, 콘서트 등의 음반 외 활동으로 소통할 수 없었다. 선거 유세 방송이나 [[광고]] 등의 출연은 1990년대 당시 비용이 너무 많이 들 뿐 아니라 인간미에 대한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했기 때문. 그리고 [[21세기]]에는 한일 아이돌이 [[팬사인회]]나 [[악수회]] 등으로 팬들과 직접 대화하는 자리를 갖는 게 보편화되었는데, 사이버 아이돌은 이런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했다. 팬사인회나 악수회 참가권을 음반에 넣어서 음반을 판촉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. 2005년 이후 등장한 [[아이돌 마스터]]와 2010년 [[러브라이브]] 등의 사이버 아이돌 매체와 비교해 봐도 이러한 차이점이 잘 드러난다. 21세기 들어 개발된 미디어믹스들은 시나리오 라이터의 역량에 따라 인간적 매력[* 흔히 여성 아이돌에게 중요시되는 '유사 연애'를 포함한 넓은 의미의 개념. 이는 [[대중문화]]의 표현력이 광범위해지고 [[팬덤]]이 넓어지는 데서 온 일종의 시너지 효과이다.]을 다방면으로 어필할 수 있지만, 이 당시의 사이버 아이돌은 그런 어필을 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적었을 뿐더러 표현방식에도 제약이 컸기 때문이다. 정리하자면 가수로서는 [[가성비]]가 매우 나빴으며, 아이돌로서는 가장 중요한 세일즈 포인트 중 하나인 '''인간적인 매력을 파는 것'''[* 아이돌과 일반 가수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. 가수는 노래가 전업인 사람이고, 아이돌은 노래도 부르고 다른 연예 활동도 하는 예능인(엔터테이너)이다.]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에 사장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다만 영국의 가상 밴드 [[고릴라즈]]의 경우 [[MTV]] 연말 행사에서 [[마돈나]]와 합동공연을 하는 등 미디어발전의 영향으로 오프라인 공연을 하며 [[유럽]] 쪽에서 높은 인지도를 누리고 있다. 이는 가상 아이돌과 달리 [[블러(밴드)|인기 밴드]]의 [[데이먼 알반|뮤지션]]이 시작부터 기획하고 진입장벽이 낮은 그림체와 스토리를 사용해 대중적인 호응을 사기에 유리했던 영향이 크다. 이처럼 사이버 가수도 대중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산 증거로 고릴라즈를 대기도 한다. 그리고 [[버튜버]]가 2010년대에 유행하기 시작하고, [[포스트 코로나]]로 [[언택트]] 시대가 되자 다시 부활했다. 버츄얼 아이돌 아뽀키, 버츄얼 인플루언서 로지가 그 예시로 진보한 기술력으로 인해 아담의 단점을 보완해냈다.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,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배포되며,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. 또한,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.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18.217.252.13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 저장